top of page
journalismclubq202

한국기자상 심사위원, 심사기준을 말하다

'이달의 기자상' 연구모임은 지난 7월 5일 이달의 기자상 심사위원인 최영재 한림대 교수를 초청해 한국기자상과 이달의기자상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.


□ 주제 : 한국기자상과 이달의 기자상 특징과 심사기준

□ 강사 : 최영재 한림대 교수(심사위원)


<이달의 기자상 회원들이 최영재 한림대 교수(심사위원)의 강의를 듣고 있다.>



□ 퓰리처상 (Fulitzer Prizes) 

- 시작: 1917년   

- 주관: Columbia University / Pulitzer Prize Board 

- 목적: 미국 언론 예술 분야의 성취 (ex. Public Service 분야 금메달 수여) 

- 심사위원회: PPB(Pulitzer Prize Board), 102명의 심사위원 선발. 21개 분야별로 각각 5-7명 심사자 배정.

- 심사과정: 분야별로 심사위원이 후보작 3편 추천 / PPB, 추천작 중 다수결로 수상작 선정/ 또는 비추천작 중 75% 찬성 선정 

- 심사기준: 별도의 평가 기준은 없고 분야별 특성이 심사기준 (탐사보도, public service 등)

- 특이사항: 신청시 $75 납부, 상금 $15,000, PPB 이사와 언론분야 심사위원은 무보수 봉사.

 

□ 방송기자상

- 시작: 2008년    

- 주관: 방송기자연합회, 한국방송학회

- 목적: 정확하고 다양하며, 시의적절한 뉴스와 프로그램이 활발하게 제작·방송되기를 격려하고, 이를 통해 민주주의 사회에서 시민의 권리와 이익이 증진될 수 있도록 함

- 심사위원: 현업 방송 언론인과 방송학회 소속 교수 등 11인 이내. 한국방송학회장이 심사위원장 겸임.

- 심사과정: 심사위원 1차 심사, 2차 심사

- 심사기준: 단독보도 여부, 탐사, 발굴 보도 여부, 사회적 파장, 속보성, 시의성, 현장성, 전문성 및 영상 구성력 등

 

□ 한국기자상

- 시작: 1967년   

- 주관: 한국기자협회, 한국언론진흥재단

- 목적: 본 회의 목적 구현에 힘쓰고 새 시대가 요구하는 기자로서 뛰어난 보도활동과 민주언론 창달에 공적이 뚜렷한 회원에게 포상 (한국기자협회 정관 49조)

- 심사위원회: 기자협회장이 위촉하는 16명 내외. 주로 교수. 현업을 다 마친 기자 출신들 위주로 구성. 각 업계 전문가가 포함되는 경우도 있음.

- 심사과정 :심사위원 1차, 2차 심사

- 심사기준: 영향력, 독창성, 시의성, 심층성 (2020-)

 

<이달의 기자상 심사기준>

- 점수제 채점을 하되 절대평가 방법을 택함.  

- 심사위원 소속사 작품은 채점하지 않음. 

- 평균 9점 이상을 얻은 작품은 모두 수상작으로 결정함. 

- 평균 8점 이상 9점 미만의 작품에 대해서는 선정위원 토론 후 재채점함. 

- 심사위원들은 수상작품을 놓고 종합토론을 거쳐 수상이유서를 작성함.

 

[질의응답]

Q. 한국기자상 대상 수상작이 없을 때가 있다. 기준이 어떻게 되나?

A. 대상은 대체로 3년에 1번 정도 나오는 것 같다. 심사위가 대상 수여에 부담을 느끼는 편. 상징성 있고 그 해를 주름 잡았던 보도에 대해서 투표를 거쳐 심사하는 것이라 기존 수상작들 대비 비중을 평가하는 편. 만장일치로 나오는 건들이 있는 해가 대상 수상작이 나온다.

 

Q. 경제보도 수상작이 없는 경우가 있는데, 기준에 못 미치는 경우 많아서 그런 건지. 아니면 따로 수상 기준 있어서 그런 건지?

A. 경제보도 부문이 좀 애매하다. 경제보도 특성상 특종성이 많이 없는데, 사회부성 경제 범죄가 많이 올라온다. 이 기사 분야가 과연 경제보도 수상작으로 선정해야 하느냐 하는 이야기가 많이 나오는 편이다. 

최근 적합했던 보도 중에서는 한국일보 코인 기획 시리즈가 있었다. 코인 관련 7개 기사들이 상신 됐는데 그 중에서 기획성, 독창성, 심층성이 가장 뛰어났다. 초보부터 전문가까지 모두 알 수 있도록 수성했다. 

그리고 요즘 경제보도 경향 중에 데이터저널리즘이 많은데, 전수조사 했다는 건이 많다. 그러나 이제 분위기가 전수조사해서 의미가 있다고 주자는 건 지양하고 있어. 빅데이터 분석이어도 심층성이 있고 의미를 잘 제시해야 함. 

 

Q. 신청 공적서 작성 시 권고사항이나 요령은?

A. 공적서 많이 중요하다. 최대한 심사위원들이 해당 보도의 핵심, 의미를 잘 파악할 수 있도록 일목요연하게 써야. 가독성 있게 정리하는 것도 중요.

 

Q. 방송은 원고 내는데 화면 영상 취재 구성은 어느 정도 심사하나. 

A: 희귀동물 발견 등 영상이나 영상미가 중요한 때는 본다. 근데 내용이 중요할 땐 원고만 보는 경향이 있다. 

 

Q. 공적서 작성 항목 중 타 매체 반향이라는 항목 있다. 그런데 경제 쪽에서는 난도 높은 기사면 중요한 문제제기 해도 타사 받지 않는 경우 많아. 받아쓰기 보도 없더라도 문제제기가 좋으면 수상이 가능한가?

A. 다 받아쓰면 그게 특종의 정의인데. 그게 누가 봐도 특종이네 하면. 자기가 발굴해서 썼는데 다른 데가 다 받았으면 당연히. 어떤 경우는 특히 기획보도는 전혀 안 받을 수가 있다. 그렇지만 <우리가 명함이 없지> 보도는 아무데도 안 받았다. 근데 한국기자상까지 받았다.

17 views0 comments

Recent Posts

See All

Comments


bottom of page